총학선거를 일주여일 남겨놓은 상황에서 스윙바이 선본의 정후보 김소윤씨, 부후보 이형균씨를 만나보았다. 스윙바이의 공약을 살펴보았다.
Q. 이번에 내세운 공약에 대해서 간단한 소개.
이형균(이하 이) : 공약에 있어서 ‘교육 2만의 상상으로’와 ‘제2대학’, ‘솔루션 위원회’, ‘학교에 대한 출교 조항 삭제와 조항 전면 재 논의’로 많은 이야기를 학생회 선거를 통해서 풀어내려고 노력하고 있다.
Q. 출교조치 자체를 없애자는 공약을 내세웠는데.
김소윤(이하 김) : 기본적으로 출교는 철회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다. 출교라는 게 굉장히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출교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학교에 반대되는 목소리를 낸다면 출교를 당하겠구나’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그래서 출교라는 자치활동이나 목소리들을 억압할 수 있는 항목의 삭제를 요구하고 싶다. 학교에서 일반적으로 잘못한 학생에게 벌을 주는 이런 징계의 과정이 굉장히 비민주적으로 되고 있다고 생각하고, 징계 과정에서 벌로 끝내는 것이 아니라 정말 이 문제가 어떻게 발생을 했고, 해결의 주체들이 모여서, 그것을 논의할 수 있는 테이블을 만들고, 징계제도에 대한 전면 재논의를 요구할 것이다.
Q. 학우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기구를 기획하고 있다고 들었다.
김 : 'Cyber KU into'를 생각하고 있다. 이 공간에서 학내에서 문제가 되는 쟁점들을 이야기 하고, 설문 조사도 하고, 이 과정에서 다양한 입장들이 이야기 될 수 있는 공간을 만들 것이다. 여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역사책에서 봤던 만민공동회와 같이 자유롭게 자신의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오프라인 공간을 만들어, 쟁점에 대해서 실제로 사람들이 자기 의견을 이야기 하고 정책들을 만들어가는 장을 만들 생각이 있다.
Q. 'Cyber KU into'가 현재의 고파스와 비슷하지 않나?
김 : 고파스에서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학내 혹은 학외의 정보들을 공유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어떠한 찬성, 반대 혹은 다양한 의견들이 나올 수 있는 쟁점이 형성되거나, ‘이것을 어떻게 해결하자’라는 이야기들은 잘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 어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의견들을 나눌 수 있는 공간으로서 'Cyber KU into'를 생각하고 있다.
Q. 학우들을 위한 복지정책은 무엇을 생각하고 있나
이 : 권리는 누구나 가질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누구나 누릴 수 있는 권리로서 복지를 말하는 것이 공약으로 내세운 솔루션 위원회가 아닐까 생각된다. 이벤트성의 한번 행사로서 복지가 아니라 우리 삶의 욕구를 요구할 수 있는 그런 것으로서 솔루션 위원회를 제안한다. 예로 들자면 지금 ‘무이자 하숙 보증금 대출 제도’등과 같은 것을 생각하고 있다.
Q. 40대 총학생회가 했던 학생복지서비스, 예를 들면 ATM 수수료 무료나 청춘카드와 같은 사업과 연계 될 가능성은?
김 : 청춘카드 같은 경우는 학우들이 원하고 넓은 의미로 권리로 제시될 수 있다면 학복위에서 같이 진행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나은행 수수료 같은 경우는, 수수료 무료가 된 이유가 은행이 사람의 미래를 보면서 미래에 투자하는 그런 식의 수수료 무료화가 아니였나, 공짜가 아니라 미래를 내어주고 받은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이런 맥락이라면 많이 논의해 볼 필요가 있겠다. 많은 학우들의 의견 수렴이 필요하다.
Q. 제2대학이라는 것을 제안했다.
김 : 대학에 와서 수업에 만족을 하지 못하는 경우를 많이 봤다. 삶에 도움이 되는 지식들을 배우는 공간이 매우 적다고 생각한다. 대강당을 제 2 대학이라는 공간으로 활용해서, 시민교육, 대안교육이라는 의미로 사용하자는 것이다. 학교가 제시하는 커리큘럼과 다른 무(無)학점 강좌를 생각하고 있다. 세상을 분석할 수 있는 지식에 대해 이야기 하고 싶다. 또 인근 주민들이 원한다면 같이 수업을 받을 수 있는 열린 대학을 지향한다.
Q. 최근 대선에 대한 이야기도 하고 있다.
김 : 많은 학우들이 학생회 선거에 왠 대선 이야기냐 하는 반응이 많았다. 어느 후보를 지지해서 라기 보다는 선거라는 것에서 우리의 목소리를 내자는 의미에서 대선을 이야기 하고 있다. 특히 이야기 하고 싶은 것은 비정규직에 대한 이야기이다. 많은 대선 주자들이 경제발전만 논하고 있는데, 경제에 있어서 비정규직 문제를 피해갈 수 없다고 생각된다. 선거기간과 그 이후에 ‘비정규직 권리찾기 프로젝트’를 시행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