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ort_export
웃음·연재 2
유쾌하고 감동적이며 놀라운 이야기, 자작 연재 콘텐츠!
새로고침 | 로그인
익명
등록일 : 2025-02-07 09:34:28 | 글번호 : 412027 | 0
7108명이 읽었어요 모바일화면 URL 복사
우뢰매가 표절인데 일본에서 논란이 안된이유




첨부 이미지 : 5개

토비카케 봉뢰응 표절이다.
그런데 일본에서 논란이 안일어나고
아직도 계속 우뢰매 제품이 나오는 이유는 하나다.

이 작품의 메카닉 디자이너 오오하타 코이치는 우뢰매가 자신의 로봇을 표절했단 소리를 듣고
우뢰매를 봤다가 한국 B급 영화에 빠져들어 한국 B급 영화 전문가가 되었다.

기본적으로 영화 퀄리티를 두고 비판을 많이 하지만 괜찮은 점도 있다고 칭찬을 하기도 해서 혐한은 아니다.



원작 디자이너가 그냥 무신경 ㅋㅋ
출처 : 고려대학교 고파스 2025-05-19 23:43:49:


댓글수 10
새로고침 | 목록보기 | 댓글쓰기
베스트 댓글 1 익명 2025-02-07 10:29:02
요즘 가끔씩 케이블에서 피구왕통키 같이 옛날에 우리나라에서 일본 만화 그냥 막무가내로 가져와서 병맛으로 실사 영화 만들어 놓은거 보여주는데

진짜 그 B급 병맛이 은근 중독성 있음요 ㅋㅋ

나오는 배우들 필요 이상으로 잘생기고 예쁘고 연기력 너무 좋고

지금 기준으로는 꽤나 티나고 조잡한 특촬이긴 하지만 나름대로 애써서 고난이도 액션 엄청 하는 편이고

와이어 액션 엄청 들어가있는데 당시 기술상
CG로 와이어 지우기는 커녕 대 놓고 줄이 보이는데 이 악물고 모르는척 하는거도 킹받으면서 은근 웃김 ㅋㅋㅋ

26 0
베스트 댓글 2 익명 2025-02-07 10:40:55
[나무위키피셜]
언급된 바와 같이 우리나라 완구 회사인 뽀빠이과학에서 일본에서 봉뢰응 금형을 사와서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했기에 표절 논란이 있다. 그러나 엄밀하게는 표절이 성립되기 어렵다는 반론이 있다. 표절의 정의는 남의 작품의 일부를 허락없이 몰래 사용하는 것인데, 우뢰매는 닌자전사 토비카게의 스폰서 완구사로부터 금형을 사서 만든 작품이기 때문이다. 판권의 정식 허가가 이루어졌는지는 알 수 없지만 토비카게 스폰서 완구사가 금형을 매각한 만큼 이를 이용한 완구 및 애니 제작을 암묵적으로 허용한 것으로 보는 경우가 합당하다는 것이다.

구체적 당시 애니메이션 제작 산업 구조를 알 필요가 있는데, 애니메이션은 보통 완구사로부터 제작비를 지원받아 제작된다. 완구사는 애니메이션의 흥행을 통해 자사의 완구 판매량을 높일 목적으로 애니메이션의 제작비를 지원한다. 이때문에 메카의 디자인은 주로 스폰서 완구사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런데 당시 우리나라의 완구사들은 일본에서 쓰다가 폐기한 완구 금형을 사오는 경우가 많아서 작품에서도 같은 디자인의 메카들이 나오던 것. 즉, 당시 완구를 만들던 뽀빠이과학이 일본 완구사로부터 봉뢰응 금형을 사와서 완구를 만들게 되면서 우뢰매 제작비를 지원하게 되었고, 그렇게 우뢰매의 디자인은 제작진의 의중과 관계없이 결정되어 버린 것이다. 스페이스 간담 V와 비슷한 사례인 것.

나무위키 찾아보니 좀 더 복잡한 사정이 있어 보입니다... 금형을 판매한 것이 완구 및 애니 제작을 암묵적으로 허용한 경우가 많아서 소송하지 않았다고 정리되어 있네요. 봉뢰응이 메카 디자인뿐만 아니고 '닌자전사 토비카케' 등의 애니메이션에까지 등장하는데 단순히 메카닉 디자이너가 소송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그걸로 끝나는 것은 아니니까요.

18 1

댓글 1 BEST 익명 2025-02-07 10:29:02
요즘 가끔씩 케이블에서 피구왕통키 같이 옛날에 우리나라에서 일본 만화 그냥 막무가내로 가져와서 병맛으로 실사 영화 만들어 놓은거 보여주는데

진짜 그 B급 병맛이 은근 중독성 있음요 ㅋㅋ

나오는 배우들 필요 이상으로 잘생기고 예쁘고 연기력 너무 좋고

지금 기준으로는 꽤나 티나고 조잡한 특촬이긴 하지만 나름대로 애써서 고난이도 액션 엄청 하는 편이고

와이어 액션 엄청 들어가있는데 당시 기술상
CG로 와이어 지우기는 커녕 대 놓고 줄이 보이는데 이 악물고 모르는척 하는거도 킹받으면서 은근 웃김 ㅋㅋㅋ :


댓글 2 BEST 익명 2025-02-07 10:40:55
[나무위키피셜]
언급된 바와 같이 우리나라 완구 회사인 뽀빠이과학에서 일본에서 봉뢰응 금형을 사와서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했기에 표절 논란이 있다. 그러나 엄밀하게는 표절이 성립되기 어렵다는 반론이 있다. 표절의 정의는 남의 작품의 일부를 허락없이 몰래 사용하는 것인데, 우뢰매는 닌자전사 토비카게의 스폰서 완구사로부터 금형을 사서 만든 작품이기 때문이다. 판권의 정식 허가가 이루어졌는지는 알 수 없지만 토비카게 스폰서 완구사가 금형을 매각한 만큼 이를 이용한 완구 및 애니 제작을 암묵적으로 허용한 것으로 보는 경우가 합당하다는 것이다.

구체적 당시 애니메이션 제작 산업 구조를 알 필요가 있는데, 애니메이션은 보통 완구사로부터 제작비를 지원받아 제작된다. 완구사는 애니메이션의 흥행을 통해 자사의 완구 판매량을 높일 목적으로 애니메이션의 제작비를 지원한다. 이때문에 메카의 디자인은 주로 스폰서 완구사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런데 당시 우리나라의 완구사들은 일본에서 쓰다가 폐기한 완구 금형을 사오는 경우가 많아서 작품에서도 같은 디자인의 메카들이 나오던 것. 즉, 당시 완구를 만들던 뽀빠이과학이 일본 완구사로부터 봉뢰응 금형을 사와서 완구를 만들게 되면서 우뢰매 제작비를 지원하게 되었고, 그렇게 우뢰매의 디자인은 제작진의 의중과 관계없이 결정되어 버린 것이다. 스페이스 간담 V와 비슷한 사례인 것.

나무위키 찾아보니 좀 더 복잡한 사정이 있어 보입니다... 금형을 판매한 것이 완구 및 애니 제작을 암묵적으로 허용한 경우가 많아서 소송하지 않았다고 정리되어 있네요. 봉뢰응이 메카 디자인뿐만 아니고 '닌자전사 토비카케' 등의 애니메이션에까지 등장하는데 단순히 메카닉 디자이너가 소송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그걸로 끝나는 것은 아니니까요. :


댓글 3 익명 2025-02-07 11:35:51
낭만의 시대ㅋㅋㅋㅋㅋ :


댓글 4 익명 2025-02-07 11:38:06
장난감 팔아먹기 쉽게 (일본 금형 가져다 찍어내려고) 일부러 표절하지 않았나 하는 추측도... :


댓글 5 익명 2025-02-07 11:46:33
"스폰서인 뽀빠이과학에서 일본에서 가져온 봉뢰응 중고 금형으로 애니메이션을 만들어보면 어떻겠냐고 제안"...
아 맞네요 ㅋㅋ :


댓글 6 익명 2025-02-07 15:38:50
5/ 선복사 후창작 ㅋㅋㅋ :


댓글 7 익명 2025-02-07 16:07:37
5/
6/ 근데 그 금형을 정식으로 사서 갖고왔는지, 무단으로 반출한건지에 따라 평가가 다를 것 같아요 :


댓글 8 익명 2025-02-07 16:07:46
제가 우뢰매1~6을 영화관에서 본 사람인데ㅋㅋㅋ
우뢰매 장난감 진짜 퀄 좋았어요. 산타할아버지가 크리스마스 선물로 줬음.... :


댓글 9 익명 2025-02-07 16:08:56

이런것도 복각해서 갖고있습니다 :


댓글 10 익명 2025-02-07 16:24:12
그것도 있지만 김청기의
마징가 자붕글 베껴간 태권브이가 가장 핫해서 어그로 다 끌어간것도 있죠 :


댓글을 작성하실 수 없습니다. (권한이 없는 회원레벨)
목록보기 
캠퍼스프렌즈 | 대표 : 박종찬
서울 성북구 안암로83 5F
사업자 등록번호 : 391-01-00107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성북-1598
02-925-1905
e-mail : kopapa@koreapas.com
고파스 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문의 | FA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