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셉 돌려막기가 한계에 달하니 결국 제 취향으로 돌아오네요.
딱히 할말이 없어서 바로 본론으로 갑니다. 14세대나 빨리 나왔으면...
# 인텔 견적
게임을 아예 안 한다 or 해봤자 롤 몇판 정도 -> 인텔
게임이 어느정도는 돌아갔으면 좋겠다 -> AMD로...
10세대 좀 싸졌나 싶어서 둘러봤는데 그냥 신경 끄시길.
12세대 i3는 이전 i5 이상 제품과 비교해도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훌륭한 성능으로 사무용으로는 차고 넘치는 제품입니다.
쿨러는 기쿨보다 약간 나은 정도고
보드는 4k 모니터 두대까지 연결 가능합니다.
램과 그 외 케이스 파워 SSD 등은 죄다 싼거 위주로 넣었습니다.
맘에 안 들면 비싼 걸로 바꿔도 되는데 그래봤자 체감은 없을 거라...
# AMD 견적
10세대랑 마찬가지로 4350G, 4650G 이런거 쳐다보지도 마시길.
5600G는 롤 말고도 피파온라인, 발로란트 정도에 딱 좋은 CPU이고
체급에 비해 멀티성능이 좋아서 간단한 영상편집은 거뜬합니다.
라이젠은 'P의 거짓' 번들 행사중. (라파엘O 세잔O 버미어X)
AM4 보드가 전멸 직전이라 어쩔 수 없이 바이오스타로 골랐는데
마찬가지로 4K 모니터 두개까지 연결됩니다.
찜찜한데 가격이 깡패라 어쩔 수 없네요. AS는 이엠텍이라 괜찮을 겁니다.
램오버는 할 줄 알면 국민오버 정도는 꼭 해주세요.
CPU 성능은 물론 내장GPU 성능에 영향이 큽니다.
# (1) 12100F 견적
13100F은 아직도 가격이 정신 못 차렸으니 쳐다보지도 마시길.
최대한 쥐어짠 견적으로
게임은 하고싶지만 예산이 빠듯하다면 선택할만한 견적입니다.
위에 이엠텍 보드가 등장해서 여기는 컬러풀을 넣어봤는데
워낙 짠내나는 견적이라 가격 낮출 곳이 마땅치 않네요.
그래도 초기불량만 거르면 큰 문제는 없을 듯.
그래픽카드는 RX6600이 아직도 가성비 킹인 것이 사실이지만
(라데온도 라이젠처럼 P의거짓 번들 행사중. 거의 전 제품 다 줌)
스타필드 번들 행사가 끝나서 좀 애매해졌으니
성능을 더 원한다면 4060이나 7600 까지 생각해보시길.
더 높여서 3060TI나 4060TI 등은 아래 견적으로...
파워는 500W로 문제는 없을 거지만 찜찜하면 높여 가시길.
# (2) 5600 견적
도대체 언제까지 버미어를 써야 하는지 모르겠으나
아직까지도 가성비에서 따라올 구성이 없는 게 현실이라
적당한 게이밍 견적에서 가장 추천하는 구성입니다.
간간히 12세대나 버미어, DDR4 등을 '구세대' 취급하면서
레거시 치우듯 밀어내버리는 판매자들이 보이는데
(심지어 개인적으로 즐겨보는 유튜버 중에도 있습니다.)
출시일이 10년이 됐든 20년이 됐든 그게 중요한 게 아니라
당장 성능과 가격에 문제가 없다면 가져다 쓰는 게 맞습니다.
(물론 10세대나 르누아르 같은 건 보내줘야...)
각설하고, 램오버를 적극 권장하며
그래픽카드는 (중고 3070이나) 4060TI 정도까지 추천함.
# (3) 12400F 견적
솔직히 말해 5600 견적에 비해 이렇다할 메리트가 없는 반면
(쿨러값을 논외로 하더라도) 가격이 5만원은 더 들어가기 때문에
굳이 선택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언제나 인텔만 찾는 유저가 있기에 일단 넣어두었습니다.
12500 이상 13600 이하 그 사이 어딘가
어중간한 12~13세대 i5~i7 CPU는 전부 가성비가 똥망이라
결국 제일 싼 12400F와 제일 좋은 13600K 이 두가지만 남습니다.
램오버는 잘 안 될 거지만 그래도 시도는 해보시길.
B660은 단종으로 몇개 남지도 않았는데 아직도 비싼 게 참...
# 7500F 견적
라파엘 CPU는 번들 게임 행사중이니 꼭 받아가세요.
가격 면에서는 그래픽카드에 비해 CPU가 조금 아쉬울 수 있으나
QHD용 견적이라고 생각하면 오히려 딱 적당한 밸런스입니다.
영 애매하다 싶으면 그래픽카드를 한 단계쯤 내리시면 되고요.
보드는 램슬롯이 두개뿐인 저가형이지만 7500F에는 문제가 없고
램도 16GX2로 가는 이상 몇년간 부족할 일이 없을 거라서
저렴하게 가는 게 낫다고 판단했습니다.
최근 DDR5는 회사를 불문하고 램불량 이슈가 줄줄이 터지고 있어서
이제 안정적인 곳이라고는 하이닉스-에센코어 뿐이네요.
램값은 바닥 찍고 다시 살살 오르려는 기미가 보이는 듯 합니다.
4070TI 정도 되면 250W 이상 먹는지라 3슬롯 3팬짜리 제품 위주인데
이정도 사이즈 그래픽카드는 지지대를 추가하는 게 반 필수입니다.
그 외 케이스 내부 온도가 걱정된다면 SSD 방열판도 달아주면 좋습니다.
해당 방열판은 보드 제조사 측에서 권장하는 제품인데,
한번 붙이면 다시는 뗄 수 없는 수준의 접착력이라고 하니 참고하세요.
# 13500 견적
취미용, 유튜브 개인채널 V로그, 게임 플레이, 자막편집 정도의
동영상 작업용 구성으로 최대한 가성비 위주로 챙겼습니다.
더 높은 성능이 필요하다면 (특히 게임) 13600K로 올려 가시길.
램은 넉넉히 32G X2로 넣었는데, DDR5 고용량 램 풀뱅시
램클럭 저하는 감수하셔야 할 겁니다. 심하면 3600까지도 내려감...
웬만하면 두개만 넣어 쓰시는 게 좋습니다.
3060 12G는 현재 영상 작업용으로 가장 무난한 제품이고
그 외에 4060TI 16G나 A770 16G 같은 게 작업용 카드로 꼽히는데
가성비가 너무 똥망이라... 용도에 게임도 포함되어 있다면
차라리 4070, 4070TI로 높여 가는걸 추천하겠습니다.
A770은 영상편집 전용 카드로 봐도 무방할 정도...
HDD는 필요한만큼 추가하면 되는데 4/8테라 제품이 가성비가 좋네요.
파워는 CPU, 그래픽카드에 맞추면 되는데 보통 700W면 됩니다.
장시간 작업에 불안하다면 750W 골드급으로 높여 가시길.
# 7800X3D 견적
더 설명할 필요가 없는 끝판왕 구성입니다.
4090은 4K 게이밍에서도 CPU 병목을 만들어내는 어마무시한 놈이라
기왕 쓰는거 CPU에서도 끝판왕으로 가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보드와 쿨러에서 최소한의 가성비(와 양심)을 챙겼습니다.
견적에는 안 들어가 있지만 이 체급에 그래픽카드 지지대는 필수이고
비싼 그래픽카드(혹은 케이스)에는 아예 포함되어 있기도 합니다.
램오버는 V캐시 CPU 특성상 영향이 크지 않다는 거 알아두시길.
이런 견적에 파워 아끼는 건 바보짓일테고...
원한다면 SSD나 케이스 등은 취향대로 바꾸셔도 됩니다.
--------------------------------------------------------
# 견적에 포함된 그래픽카드는 각 칩셋 최저가 모델일 뿐, '추천제품'이 아닙니다.
# 샵다나와의 PC견적 시스템을 활용한 자료입니다. 가격은 수시로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작성자의 취향이 다분히 반영된 견적입니다. 조언 환영합니다.
# 데스크탑 환경 기준으로 작성했기에, 그 외 기기에서 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선택은 소비자의 몫이며, 작성자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 2023년 09월 견적글 (클릭)
출처 : 고려대학교 고파스 2025-05-25 11:08: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