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펌) 닌텐도 스위치 홈브류 진입 가이드입니다
익명
2018.05.15 12:31:50 35,308
펌) 닌텐도 스위치 홈브류 진입 가이드입니다
잡담
첨부 이미지 7unfold_more




(준비물)



hekate 로더 파일



4.x : https://github.com/nx-python/hekate-ipl-4x/releases

5.0.x(최신 펌웨어) : https://github.com/Jan4V/hekate-ipl-50x/releases/tag/v1.0.0

------------------------------------------------------

윈도우 APX 드라이버

https://files.fm/u/xzfjgxxm

------------------------------------------------------

RCM GUI 프로그램

https://github.com/eliboa/TegraRcmGUI/releases/tag/1.1.0

------------------------------------------------------



버전과 관계없이 과정은 똑같음.



방식을 먼저 설명함.



hekate 로더는 RCM jig라는 방식을 이용해서 구동함.



이건 휘발성으로 한번 RCM으로 부팅하고 나서 종료하면 다시 원상태로 복구됨.

다시 정펌으로 돌아간다는 얘기임. 그만 물어보셈.



RCM이란 하드웨어 리커버리 모드 정도로 이해하면 됨.



이 RCM이라는 걸 어떻게 작동시키느냐가 관건인데 방법이 두가지 있는데 추후 설명함.





(1) 먼저 자신의 스위치 버전에 맞는 hekate 로더 파일을 받는다.



(2) 압축 파일을 열어보면 sdcard 폴더와 payload 파일이 나오는데 payload 파일은 따로 빼놓고 sdcard 내용물을 전부

   스위치에 넣을 sd카드에 복사한다.



(3) 윈도우 APX 드라이버를 받아 설치해둔다.



이 APX 드라이버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자면 스위치가 RCM 모드에 진입하게 되면 컴퓨터와 USB 연결을 했을 때 APX 드라이버가 필요하게 된다.

APX 드라이버를 통해 윈도우에서도 USB 디버그 모드에 진입할 수 있게 됨.



그 다음이 이제 RCM 모드를 어떻게 진입하느냐 임.







첫번 째 방법은 L조이콘을 열어서 기판을 솔딩하거나 레일의 9번,10번 핀을 밴딩(살짝 들어올림)하여서 RCM 모드로 부팅하는 방법.



그런데 이 방법은 너무 복잡하고 조이콘 하나를 날려먹을 수도 있는 터라 추천하지 않음.



나도 이 방법으로는 하지 않았음.









두번 째 방법으로는 가정집에 흔히 있는 종이 클립으로 본체 L 슬라이더 부분의 하단 기판 첫번째 핀과 마지막 핀을



쇼트시켜서 RCM 모드에 진입하는 방법이고 이 방법을 추천하는 바임.









이건 내가 RCM 모드를 진입할때 사용하는 클립인데 멀쩡한 클립을 좌우로 들어올려서 반으로 자른 다음,



오른쪽 클립처럼 구부려서 쓰면된다. 상단 부분은 손잡이고, 하단의 양 끝지점이 쇼트시킬 부분임.



가운데 부분을 그림과 같이 구부려서 접점이 닿기 편하게 만듦어야함.









클립가지고 하는게 도무지 안되겠다는 사람들은 양키들이 3d프린터로 RCM 진입용 플라스틱 껍데기를 2~4달러에 팜.



이걸 사서 하는것도 괜찮음. 그런데 3-4달만 있으면 RCM 방식은 필요 없을 수 있음. ( 5.x 버전은 필요할거같음..)









다시 클립으로 돌아가서



위 그림을 보고서 어떤 방식으로 돌아가는지 이해하면 됨.



이제 RCM 용 클립을 만들어서 준비했으면



아까 준비물을 복사한 sd카드를 스위치에 넣은 상태에서



스위치를 USB에 연결한 상태에서 종료시킨다.



그다음 L 조이콘을 벗기고 레일에 페이퍼 클립을 위 그림처럼 삽입시킨다.



그리고 음량+ 버튼과 전원버튼을 동시에 눌러서 RCM 모드에 진입하는거임.



성공하면 검은 화면인 상태로 컴퓨터에서 띠링하며 연결음이 나타나고



스위치 로고가 뜨면 실패한 것이며 다시 클립의 자세를 잡아주고 아까 설명한 것처럼



스위치 종료하고 다시 시도하면 됨.



-



RCM 모드에 진입이 성공하고 검은 화면이 나타나면



글의 맨 위의 RCM GUI를 받는다.









왼쪽 화면은 RCM 모드 진입이 안되었을때, 오른쪽 화면은 RCM 모드가 진입하면 뜸.



아까 받았던 내용물 중에 payload.bin 파일을 집어놓고



lnject payload 버튼을 누르면 스위치 화면에 불이 들어오면서 조그맣게 글씨가 표시될거임.









여기서부터는 조작방법이 파워버튼이 OK버튼이고 볼륨업다운버튼이 위아래 버튼임.



Launch firmware 에서 파워버튼 누르고 그다음 stock과 CFW 메뉴가 나오는데 CFW 선택해서 부팅하면



하얀화면 나오면서 스위치가 부팅됨.



그다음 앨범 버튼 눌러보면 홈브류 로더가 기동될거임.



기동되면 아무것도 없을텐데 RCM 부팅 이전에 sdcard에 에뮬레이터라던가 홈브류스토어 같은걸 넣어두면 편함.



-



주의사항: hekate는 슬립모드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슬립모드시 기기가 멈추는 현상이 있어서 실수로 슬립모드에

진입하면 파워버튼을 10초정도 눌러준다음 다시 한번 더 눌러주면 OFW(기존 시스템)로 진입함.





4개의 댓글
1
익명
닌텐도는 왜 매번 뚫리는걸까요 ㅋㅋ
2018/05/15 14:36
3
익명
2/ 사실 하드부팅하면 되는거라 사용에는 크게 상관이 없읍니다 헤헤
2018/05/15 19:15
4
익명
앙대 우리 닌텐도 ㅠㅠㅠㅠㅠㅠㅠ
이거 게임까지 돌려지는거죠?
넘 빨리 뚤린거 같네여

테그라 보안문제면.... 칩 제조사에서 보상을 해 줄까요?
2018/05/15 22:15
HOT 게시물 공식 오픈채팅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